-
평범한 사람도 비범한 성취 이루는 법서평 2020. 4. 21. 22:09
비범한 성취는 꼭 똑똑한 사람들의 몫일까? 평범한 사람들은 넘보지도 못하는 걸까? 아니다.
책 <소셜 애니멀>의 저자 데이비스 브룩스에 따르면, 천재성은 대부분 만들어지며 평범한 사람도 충분히 뛰어난 성취를 이룰 수 있다. 즉, 성공은 지능지수가 좌우하는 것이 아니다!!
터먼 연구라는 유명한 프로젝트가 있다. 이 연구는 아이큐 점수 135 이상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었다. 연구자들은 이 학생들이 장차 화려한 업적을 이룰 것이라고 기대했다. 후에 이들은 대부분 변호사가 되고 기업의 이사가 되었으나 이들 가운데서 풀리처상이나 맥아더상 같은 그야말로 슈퍼스타는 나오지 않았다. 또 1968년 멜리타 오든이 수행한 연구에서도 최고의 성과를 올린 사람들의 아이큐 점수를 확인했더니 보통 수준에서 아주 조금밖에 높지 않았다. 이들이 가지고 있었던 장점은 높은 노동윤리와 큰 야망이었다.
기업체를 운영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아이큐 점수가 100이상이면 된다. 물리학을 연구하고자 한다면 아이큐 점수가 아마도 120을 넘어야 할 것이다
소셜 애니멀, 246p
말콤 글래드웰이 <아웃라이어>에 썼듯이, 화학과 의학 부문에서 노벨상을 받은 미국인은 대부분 똑똑한 사람들만 갈 수 있는 하버트 대학교나 MIT 출신이 아니다. 롤린스대학교, 워싱턴 주립대학교, 그린넬대학교와 같이 그저 그런 수준인 학교에 가는 것만으로도 충분했다. 이런 정도의 학교에 입학할 수 있을 만큼만 된다면, 남들보다 얼마든지 뛰어날 수 있다
소셜 애니멀, 248P
어떤 사람이 인생을 살면서 성공을 거둘 때 아이큐는 기껏해야 20퍼센트밖에 기여하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린다. 20퍼센트라는 수치는 신뢰할 수 없는 수준이다. 똑똑한 사람이 수학 문제를 잘 푼다. 그 범위를 넘어서고 나면 아이큐와 인생에서 거두는 성과 사이의 상관성은 느슨해진다
소셜 애니멀,247P
성공은 지능지수보다는 정신적 기질과 직관, 감정, 인격적 특성 같은 비인지적 기술(감추어진 자질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말로, 쉽게 계량하거나 측정할 수는 없지만 행복과 성취를 얻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함)이 좌우한다.
결정을 내리기 전에 정보를 수집하는 성향, 결정을 내리기 전에 다양한 관점을 찾아보는 성향, 문제에 반응하기 전에 그 문제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생각하는 성향 등과 같은 정신적 기질과 높은 노동윤리, 야망, 그릿, 단기 충동억제능력, 기록하는 습관 등 쉽게 계량할 수 없는 요소들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비범한 성취를 이루는 방법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책 <소셜 애니멀>,<완벽한 공부법>,<오리지널스>를 참고했다.
1. 나는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는다
인간의 모든 신체는 나이가 들면서 퇴화하지만,뇌만큼은 다르다. 뇌는 부지런히 쓰면 쓸수록 신경 간의 새로운 연결을 만들어내며 성장한다. (뇌의 가소성) 다시 말해, 모든 사람의 뇌는 죽을 때까지 성장한다는 사실이다
특정 영역에서 노력을 많이 하면, 그 영역에 한해서는 머리가 좋아지는 일이 발생한다는 것이다.이런 뇌의 가소성은 우리가 죽을 때까지 이어진다
완벽한 공부법
아이큐는 고무줄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환경적인 요인이 아이큐를 형성하는 데 어마어마하게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버지니아의 프린스 에드워드 카운티에 거주하는 흑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보고서에서, 아이들은 학교를 1년 씩 빠질 때마다 아이큐 점수가 평균 6점씩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소셜애니멀, 246P
뇌는 성장한다. 실제로 과학적 사실이 그렇다. 변하는 건 뇌뿐만이 아니다. 성격도 바뀔 수 있다. 그 변화는 우리가 뇌도, 지능도, 성격도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실제로 변하지 않지만 뇌도, 성격도, 지능도 노력을 통해 성장한다고 하면 실제로 변한다는 것이다.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하나로 당신의 운명은 바뀔 수 있다!!
2. 의식적인 방법으로 지독한 연습을 한다
놀라운 성공 뒤에는 낭만적이고 신화적인 스토리가 아니라 살풍경하고 청교도적인 연습만 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천재성을 평범한 재능과 가르는 핵심적인 요소는 결코 '반짝거리는 신의 뜻'이 아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점차 더 나아질 수 있는 능력이다. 플로리다주립대학교 심리학자 안데르스 에릭손이 보여주었듯이, 그것은 신중한 연습이다. 최고의 연주자들은 솜씨를 갈고닦는데 다른 사람들보다 많은(훨씬 많은!) 시간을 들인다. 에릭손도 말했지만, 최고의 연주자들은 평균적인 연주자들보다 5배나 더 많은 시간 동안 연습했다.
카네기멜론대학교 존 헤이스 교수는 고전음악 500곡을 연구했다. 이 가운데서 작곡가가 그 방면에 발을 들여놓은 지 10년 안에 작곡한 곡은 오직 세 곡뿐이었다. 나머지는 모두 작곡가가 10년 이상 뼈를 깎는 노력을 꾸준하게 한 끝에 완성한 것들이었다. 이런 사실은 아인슈타인, 피카소, 엘리엇, 프로이트, 마사 그레이엄에게도 그대로 적용된다.
소셜 애니멀,208P
잊지말자. 노력은 디폴트다. 그 어떤 성취도 엄청난노력없이 그냥 나오지 않는다.
3. 개념적 혁신가보단 실험적 혁신가가 된다.
갤런슨은 창의적인 인물들을 연구했는데, 혁신에는 서로 크게 다른 두 가지 유형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개념적 혁신가들은 대단한 아이디어를 생각해내고 그 개념을 실행하는데 착수한다. 실험적 혁신가들은 시행착오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면서 지식을 축적하고 진화한다. 이 실험적 혁신은 수년 또는 수십 년에 걸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축적해야 달성할 수 있다. 이 방식은 결과물을 내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끊임없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산하도록 해준다.
노벨상을 수상한 물리학자들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30세 이하의 천재들 가운데 정확히 절반이 이론적인 연구를 한 개념적 혁신가였던 반면 45세 이상의 노련한 거장들 중에 92퍼센트가 실험적인 연구를 한 실험적 혁신가인 것으로 드러났다.
다시말해, 개념적 혁신은 뛰어난 젊은 천재들만이 할 수 있지만, 실험적 혁신은 보통의 사람들도 뛰어난 성취를 할 수 있게 해준다. 필요한 건 참을성과 실험정신이다.
'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나은 우리 만드는 법 (0) 2020.08.10 살면서 후회를 최대한 줄이는 방법 (0) 2020.05.14 인생의 1/3 제대로 뽕 뽑는 법 (0) 2020.04.02 오래도록 기억되는 사람들 특징 (0) 2020.03.27 돈으로 풍족한 삶을 설계하는 법 (0) 2020.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