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잘되라고 하는 말이지만 실은 사람을 망치는 말들
    서평 2024. 3. 31. 13:43

    언어는 사고를 반영하고, 사고는 다시 언어를 반영한다 즉, 언어와 사고는 쌍방향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우리는 사고뿐만 아니라 말도 주의깊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칭찬이라는 긍정적인 카테고리에서조차 함부로 막 남발하면 안된다. 우리는 칭찬하면 다 좋다고 생각한다. 그치만 올바르게 칭찬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책 <유연함의 힘>에서는 능력을 바라보는 두 관점인 성과 증명 마인드셋과 학습 마인드셋에 대해 얘기한다. 성과 증명 마인드셋은 주변과 자신에게 능력을 증명하는 일에만 온전히 집중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로, 이런 태도를 지닌 사람은 멍청해보이고 싶지 않다는 이유로 질문을 피하고, 피드백을 요청하지 않고, 도전하지 않게 된다. 즉, 장기적으로 봤을 때 도움이 될 행동은 뒷전으로 밀려나게 된다. 반대로, 학습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은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정보를 찾고, 무지를 드러내며, 피드백을 구한다. 즉, 모든 상황에서 잠재되어 있는 학습의 기회를 찾으려한다. 그래서 이들은 장기간에 걸쳐 성장하고 과거의 자신보다 나아진다.

     

    세계적인 심리학자이자 작가이며 동기 부여와 의사소통 분야의 권위자인 하이디 그랜트 할버슨은 '향상하다', '더 잘하다', '성장하다' 등 개선 과정을 포함하고 있는 문구를 사용해 목표를 기술하라고 제안한다.

    (중략)

    개선 과정을 중심으로 표현된 목표는 동기와 추진력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리가 성장 마인드셋을 유지할 때도 도움이 된다. 이것이야말로 유연성 강화의 핵심이다. 우리는 언제나 무언가를 더 잘할 수 있다.

    반대로 목표를 표현할 때 피해야 하는 문구도 있다. '잘하다', '최고가 되다'처럼 구체적인 최종 상태를 설명하는 문구다. 이런 문구는 성과 증명 마인드셋으로 이어지기 쉽다. 또한 과거의 자신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되려고 애쓰는 대신 다른 사람과 비교하도록 부추긴다. 그리고 이제는 다들 짐작하겠지만 이런 두 가지 태도는 배우고 성장하는 능력을 강화하기는커녕 저해한다.

    125p

     

    요즘 보이는 최악의 꼴불견 중 하나 - YouTube

    의외로 사람을 망치는 칭찬 - YouTube

    아이를 망치는 ‘이런 칭찬’, 차라리 하지 마세요 : 네이버 포스트 (naver.com)

     

    저자는 성과 증명 마인드셋에 대한 집착을 끊고 학습 마인드셋을 갖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말도 주의깊게 가려할 것을 조언한다. '잘하다', '최고가 되다' 같은 성과 증명 마인드셋으로 이어지기 쉬운 말 대신 성장 마인드셋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향상하다', '더 잘하다', '성장하다' 같은 개선과정을 포함하고 있는 문구로 바꿔서 말이다.

    또 밑에 첨부한 컨텐츠들 역시 칭찬을 올바르게 할 것을 조언한다.

    첫번째 컨텐츠에서는 5:17부터 ebs 다큐멘터리 <학교란 무엇인가>의 6부 칭찬의 역효과에 대해 얘기한다.

    재능을 칭찬한 그룹, 노력을 칭찬한 그룹 두 그룹으로 나누어 문제를 풀게 한 후, '비슷한 문제'와 '어려운 문제' 중 선택하게 하자, 칭찬을 칭찬한 그룹은 비슷한 문제를, 노력을 칭찬한 그룹은 어려운 문제를 골랐다. 이어지는 실험에서는 이 두 그룹에게 '문제풀이 방법'과 '친구들의 점수' 중 하나만 볼 수 있다하고 고르게 하자 재능을 칭찬한 그룹은 친구들의 점수를, 노력을 칭찬한 그룹은 문제풀이 방법을 골랐다. 이유인즉슨, 칭찬 방식이 그들의 사고방식에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그니까, 재능을 칭찬한 그룹은 성과 증명 마인드셋이 되어 이전 문제에서 받았던 평가를 못받을까싶어 도전 대신 비슷한 문제를 고르게 됐고, 문제풀이 방법을 알려하는 대신 친구들의 점수를 고르는 비교를 하게 됐던 것이다. 사실, 성장을 하려면 실패하더라도 어려운 문제에 도전해야하고, 친구들의 점수 대신 문제풀이 방법에 더 관심이 있는게 정상적이다. 그치만 재능 칭찬이 성장을 가로막는 안하느니만 못한 결과를 낳았다.

    세번째 컨텐츠 또한 '너가 최고'같은 칭찬을 하지 말 것을 당부한다. 왜냐하면 이런 칭찬이 비교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즉, 결과보다 과정을, 재능보다 노력을, 비교를 불러일으키는 칭찬보단 변화에 대한 칭찬을 해야 장기적으로 봤을 때 도움이 되는 올바른 칭찬법이라는 것이다.

     

     

     

    [상상스퀘어]유연함의 힘 : 유연함으로 쓰는 새로운 성장 공식, 상상스퀘어, 수잔 애쉬포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